금융시장

물가불안 시리즈 (1) : 글로벌 인플레이션 레짐의 변화

2011-02-07장보형

목차
농산물 및 원자재 가격 앙등을 배경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부상

세계적인 기상 이변과 작황 악화, 신흥국의 식료품 및 원자재 소비 증가와 투기 등의
영향으로 국제 농산물과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물가불안 고조

물가불안의 확대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환경 변화의 이정표

금융위기 이전의 경제환경은 기본적으로 물가의 하향안정 기조(disinflation)였던 반면,
최근의 물가 불안은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reinflation)
그동안 물가의 하향안정을 견인했던 동력들, 즉 세계화와 통화정책의 신뢰성 등이 이번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좌초되면서 물가안정 체제가 사실상 종언을 고한 셈
오히려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2008년 리만 사태 직전의 인플레이션 위험이 직후에는 디플레이션 위험으로 전환되고, 이어 최근에는 풍부한 유동성을 배경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점화 되는 등 물가의 불안정성 혹은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모습

능동적인 리플레이션 전략과 각종 불확실성의 창궐이 물가불안의 배후

위기 대응 과정에서 세계 각국의 능동적인 리플레이션(reflation) 전략이 물가불안의 배후에 작용하고 있는데, 특히 그간 물가안정을 지탱해 온 각종 앵커들이 붕괴됨에 따라 리플레이션에서 인플레이션으로의 연결고리가 ‘단락(短絡)’되는 대신에 ‘재결합’되는 양상
위기 이후 뉴노멀 시대에는 각종 예기치 못한 ‘블랙스완’이나 ‘테일리스크’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글로벌 인플레이션 환경의 변화 역시 국제통화체제의 불안정성 증대,
글로벌 자원관리시스템의 위기 등과 같은 불확실성 변수들의 향방에 크게 의존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하에 각국 정책운용의 취약성 부각

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잠재GDP 하락은 순환적 차원의 완만한 경기회복에도 물가불안을 자극하는 등 인플레이션 민감성의 확대와 외부충격에 대한 취약성을 노정
이런 가운데 신흥국의 물가불안이 확대된 반면 선진국은 여전히 디플레이션 압력이 큰
상황에서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분화되면서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부각
정책레짐 측면에서도 위기 교훈으로 물가안정의 배후에 도사린 금융불안의 위험에 초점
이 맞춰지면서 사실상 물가불안을 묵과하고 새로운 금융불안 소지를 자극할 위험 상존
요약
There is growing inflation risk against the backdrop of skyrocketing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raw materials.
● The concerns are particularly high in emerging markets, with international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raw materials soaring, owing to extreme weather events and poor harvest around the world as well as rising consumption and speculative purchases of food and resources by emerging economies.
 
The risks indicate a changing landscape for the global economy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While the global economy experienced disinflation in general in the pre-crisis era, the recent inflationary concerns suggest there is a growing risk of 'reinflation' around the globe.
● Driving forces behind disinflation, including globalization and market trust in monetary policy, were all lost after the recent financial crisis, in effect putting an end to the conventional price stabilization regime.
● Rather, inflation risk looming prior to the Lehman scandal in 2008 was turned into deflation risk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but now abundant liquidity is fueling inflationary pressure again, driving price instability or volatility.
 
Aggressive reflation strategy and growing uncertainties from a variety of sources are the main culprit for the inflationary risk.
● The inflationary risk was resulted from aggressive reflation strategies taken by governments to address the crisis, and particularly, with major anchors that have sustained price stability collapsing, the link from reflation to inflation is being 're-connected', rather than 'short-circuited'.
● In the post-crisis era of "New Normal", unexpected events of black swans or tail risks tend to grow, and the changing condition of global inflation also highly depends on rising instability of international monetary regimes, crisis in global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other uncertainty factors.
 
on the other hand, governments are found to be more vulnerable than before to global stagflation risk in their policy execution.
● Decrease in potential GDP after the crisis have fueled inflationary pressure even in a mild recovery stage on the business cycle, and led inflationary sensitivity to grow and the global economy to become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 Under the circumstances, while emerging economies have witnessed growing inflationary risk, advanced countries are still faced with high deflation pressure. The dispersed inflationary pressure on the global level may result in global stagflation.
● In terms of policy regime as well, governments are likely to focus on addressing financial risks to control inflation, as they have learnt from the previous crisis, which may mean overlooking inflationary risk and fueling another bout of financial risk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