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양적완화정책과 국제유동성의 흐름

2010-12-21곽영훈

목차
1. 양적완화정책의 실시는 디플레이션 억제와 금융시스템의 안정이 목표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는 명목 정책금리를 0% 수준까지 인하한 후에도 추가적인
금융 완화가 필요할 때, 유동성 확대를 통해 물가를 올림으로써 실질금리를 낮추는 수단
양적완화정책의 기본목표는 디플레이션(deflation) 억제. 미국경제는 고용부진과
주택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물가하락 추세 지속. 만일 자산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물가하락세가 점진적으로 심화되는 디플레이션 악순환(deflation spiral)이 발생하여
일본식 장기침체에 빠질 우려
양적완화는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성 해소를 목표. 일본의 2001~6년 양적완화는
부실채권문제 등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성을 현저히 완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의 양적완화 역시 Fed의 스왑라인(swap lines)과 함께 달러 유동성 공급을 통해
글로벌 금융시스템 안정화에 기여
양적완화 효과는 시장참가자들에게 앞으로 상당기간 제로금리가 유지될 것이라는 신뢰를 심어주는 시간축효과(policy duration effect)로 알려진 commitment에 의해 보강

2. 양적완화정책이 과잉유동성 창출과 이로 인한 글로벌 유동성 흐름 변화에 작용

미·일 등 주요 선진국들이 양적완화를 실시하여 유동성이 확대되더라도 유동성함정에
빠진 경우, 기업이나 가계의 자금수요가 제한적이고, 과잉 공급된 유동성은 외부 유출을
통해 해소되는 경향
유동성은 고수익을 추구하게 되어 기대수익률이 높은 신흥국 또는 상품시장으로 이동.
즉 선진국의 양적완화와 과잉유동성이 신흥국에서 버블을 형성시키는 결과
2001년 일본 양적완화는 엔화강세 억제 요구와 맞물려 2003년 초부터 미국채 매입이라는 형태로 유출되기 시작. 이후 미국채시장 버블이 주식, 신흥국, 상품시장 등 글로벌 버블로 확산
금융위기 직후 글로벌 유동성은 안전선호(flight to safety)현상으로 미국에 집중.
은행간시장의 안정 등 금융시스템의 안정화가 다소 진전된 2009년 초부터 유동성이
신흥국 등으로 유입 시작
2010년 10월 일본의 포괄적 금융완화정책 및 11월 미국의 QE2에서 형성되는
과잉유동성은 신흥국 및 상품시장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 미·일경제에 추가 유동성에
대한 자체 수요가 부족하고, 양적완화의 결과 저금리 지속에 대한 기대가 확대되어
캐리트레이드 유인 강화가 원인

3. 양적완화의 결과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과 이로 인한 신흥국의 긴축정책을 예상

선진국 양적완화가 자국의 실물경제 활성화 효과는 거의 없고, 대신 여기서 파생된
유동성이 신흥국과 상품시장으로 흘러넘쳐(spill over) 신흥국의 물가를 자극. 이러한
선진국의 경기침체와 신흥국의 인플레이션이라는 조합으로서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의 가능성 확대
선진국의 경기침체 지속은 자국통화의 절하 유인을 강화함으로써 통화갈등을
고조시키고, 그 수단으로서 양적완화정책의 경쟁적 도입의 가능성도 잔존
2011년중 신흥국은 경기회복세가 유지되는 반면 선진국의 양적완화에서 기인하는
인플레이션 압력의 확대로 인해 금융긴축을 강화해야 할 환경에 노출될 것으로 전망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