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Post-Crisis 시대의 세계 경제 진단

2009-11-03장보형

목차
글로벌 금융패닉 이후

리만 사태 이후의 금융패닉은 점차 해소되고 있지만 아직도 ‘평상’으로의 복귀를 기대하기는 힘들며, 최근 글로벌 경제의 강력한 회복 역시 대부분 기술적 반사효과와 정책효과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성은 의문


세계 경제의 축소 균형

글로벌 금융위기와 거시경제적 불균형은 동전의 양면. 서브프라임 시장의 미시적 시장실패와 거시적 불균형이 맞물리면서 사상 최대의 신용버블을 키워 왔고, 그 결과가 지금의 초대형 위기로 귀착
경제적 불균형은 금융혁신과 결부되어 글로벌 유동성 붐을 유발함으로써 골디락스 경제를 낳았으나, 서브프라임 위기로 인해 유동성의 선순환은 이제 악순환으로 반전되면서 세계 경제의 축소 균형을 야기
금융위기는 자산효과, 금융가속기, 은행자본경로 등을 통해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단순한 경기순환 상의 효과 이상으로 잠재 GDP를 떨어뜨림으로써 중장기적 경제 환경에 지속적인 부담 가중


거시경제적 변동성의 부활

유동성 붐의 배후에는 GDP와 물가 등 거시경제적 변동성의 완화를 의미하는 ‘대완화’가 자리 잡고 있음. 대완화는 1970년대 ‘대인플레’ 이후 디스인플레이션 기조 하에 나타난 일종의 체제 변화를 의미
그러나 대완화의 이면에 금융시장의 붐버스트와 글로벌 불균형의 심화와 같은 부정적인 속성이 존재. 서브프라임 위기는 이러한 거시경제적 안정성에 이면에 자리 잡은 내재적 긴장을 폭발시킨 계기로 작용
그동안 세계 경제의 안정성을 담보해 왔던 여러 앵커들(세계화와 금융혁신, 통화정책의 신뢰성 등)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글로벌 차원의 거시경제적 변동성이 다시 부활 조짐(경기 급등락 및 물가 불안)


불확실성의 시대

미국의 신뢰성 실추에도 불구하고 아직 대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달러 위기가 당장에 현실화 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달러화의 국제적 순환시스템이 흔들리면서 글로벌 불균형의 신속한 재조정 필요성 부각
이번 위기는 현대 경제의 지배적 패러다임, 특히 신자유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던지고 있는 가운데, 베이징 컨센서스와 생태지향적 모델, 노르딕 모델 등 다양한 대안 모델들이 경합 중
다양한 외부의 힘들과 각종 불확실성이 맞물리면서 국제경제시스템의 미래를 좌우하겠지만, ① 균형 잡힌 다극체제 ② 재정립된 서구 중심주의 ③ 금융 지역주의 ④ 분열된 보호주의 등 네 가지 시나리오 가능


결론 및 시사점

세계 경제는 당분간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경제적 안정성이 지속적으로 위협 받을 가능성이 크며, 이 과정에서 정치의 오버슈팅 리스크와 선진․신흥시장 및 신흥시장 내의 분기라는 새로운 기회에 주목
요약
After the Global Financial Panic Subsides

The financial panic that followed the collapse of Lehman Brothers is gradually subsiding, but conditions have not returned to normal, and the sustainability of recovery of the global economy is uncertain since it is being driven by a technical rebound and stimulus measures.


Contraction and Rebalancing of the Global Econom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macroeconomic imbalances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Microeconomic failures in the subprime market and macroeconomic imbalances combined to inflate the largest credit bubble in history, which in turn resulted in the current massive crisis.
Economic imbalances and financial innovation led to a global liquidity boom and a 'Goldilocks economy.' However, as a result of the crisis, the positive feedback loop for liquidity has turned into a vicious cycle, which is driving the global economy to a new, lower equilibrium.
The financial crisis is having a negative impact on the real economy through the wealth effect, financial accelerators, and the bank capital channel. In particular, the effects on GDP will be more far-reaching than a simple cyclical downturn and long-run growth potential may be structurally lowered.


Return of Macroeconomic Volatility

Underlying the liquidity boom was the 'Great Moderation,' which was a period of low volatility in macroeconomic indicators such as GDP and inflation. The 'Great Moderation' was a structural shift resulting from the disinflation that followed the 'Great Inflation' of the 1970s.
However, the flip side of the 'Great Moderation' was the intensification of boom-bust cycles in financial markets and the exacerbation of global imbalances. The subprime crisis served to release these tensions that were the inherent side effects of macroeconomic stability.
Various anchors that buttressed global economic stability, such as globalization, financial innovation, and confidence in monetary policy, have been called into question, and macroeconomic volatility on a global scale, including large swings in GDP and price instability, is likely to return.


The Age of Uncertainty

In spite of the loss of confidence in the U.S., there is currently no credible alternative to the dollar, and as a result, a run on the dollar is unlikely for the time being. However, the global system of dollar recycling is unsustainable, and global imbalances must be quickly alleviated.
This crisis has cast doubt on modern economic paradigms, and has highlighted the problems in 'neo-liberalism' in particular. As a result, various other economic models, such as the Beijing Consensus, the Eco-centric Model, and Nordic Model, are now gaining favor.
The interplay of various external forces and uncertainties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 global economic system, and four scenarios are possible : ① rebalanced multilateralism; ② re-engineered Western-centrism; ③ financial regionalism and ④ fragmented protectionism.


Conclusion and Implications

Uncertainty in the global economy will be high for the time being and economic stability will continue to be under pressure. This environment will create the risk of overshooting in government policies and will also provide new opportunities stemming from the divergence both between developed and emerging markets and among emerging markets.
Ⅰ. 서론


Ⅱ. 글로벌 금융패닉 이후

1. 패닉 진정 속 경기회복 가시화
가. 글로벌 금융패닉의 진정
나. 글로벌 경기회복 가시화

2. 중장기적인 불안정한 회복 경로
가. 지속적인 회복의 제약요인
나. Greenshoot vs. Yellow weeds


Ⅲ. 세계 경제의 축소 균형

1. 금융위기와 경제적 불균형
가. 사상 최대 신용 버블의 붕괴
나. 유동성 붐과 글로벌 불균형
다. 자산경제의 생성과 붕괴

2. 금융위기의 경제적 결과
가. 금융위기의 실물 전염경로
나. 금융위기의 경제적 영향
다. 금융위기의 장기적 영향


Ⅳ. 거시경제적 변동성의 부활

1. ‘대완화’ 시대의 종언
가. 대완화 시대의 경제 안정
나. The Great Immoderation 

2. 정치적 Deleveraging
가. 최종 대부자 기능의 재조명
나. 새로운 암묵적 계약의 출현


Ⅴ. 불확실성의 시대

1. Post-Crisis 글로벌 경제
가. 달러 헤게모니의 위기? 
나. 글로벌 불균형의 재조정

2. 국제경제시스템의 미래
가. 신자유주의의 퇴조 이후
나. 2020년 네 가지 시나리오


Ⅵ. 결론 및 시사점

새로운 전형으로의 험난한 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