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Volatility Analysis of Foreign Exchange Market in Korea

2009-08-05Hong, Sung-Cheol

목차
▶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급등 ● 우리나라와 같이 물가안정 목표제 및 변동환율제도를 동시에 채택하고 있는 나라의 경우 대외 충격은 대부분 환율의 조정을 통해 국내경제에 흡수 ● 상반기 고유가 및 하반기 글로벌 금융시장 충격으로 국내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이 급변동하면서 국내 외환시장의 불안정이 보다 심화 ▶ 원화 변동성의 시계열적 특성만을 고려 시 향후 변동성 하락 속도는 완만 ● 주요 선진국 통화와의 동조성이 보다 확대. 이는 추정기간 동안 미 달러화의 약세 기조 및 수출품의 對선진국과의 경쟁관계 확대 등에 기인 가능성 ● 원화 변동성의 자기상관성 및 비대칭성의 특징을 감안할 때 최근 급등한 원화 변동성이 하락하더라도 매우 완만하게 진행될 것으로 판단됨 ● 추정기간 동안 원화 변동성과 원화 수준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감안하면 향후 환율 수준의 하락 속도가 매우 완만할 가능성이 높음 ▶ 최근 원화 변동성 확대의 주 요인은 대외 신인도 및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 최근 원화 변동성 확대의 주 요인은 대외신인도 악화(외평채CDS 프리미엄) 및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TED 스프레드)으로 추정 ● 국내 펀더멘탈 약화(주가 변동성) 및 환율 불안심리(거래량) 등도 원화 변동성의 확대 원인으로 작용 ● 향후 원화 변동성은 점차 축소될 것이나, 단기간에 글로벌 금융불안이 급격히 심화되기 이전인 9월 수준으로 회귀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울 듯 ▶ 원화 변동성 확대는 내수 및 수출의 동반 위축 초래 ● 변동성 확대는 교역량 및 투자를 동시에 위축시키며 그 효과가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임 ※ 특히 투자 위축은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킬 우려 ● 이는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의 증대로 기업의 위험기피성향 증대, 기업이윤의 불확실성, 기회비용의 증대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 ● 변동성 확대는 수출보다 수입을 더 큰 폭으로 하락시킴에 따라 무역수지는 개선. 반면 소비에 대한 영향은 미미 ▶ 원화 변동성의 주식시장에 대한 효과는 채권시장에 비해 크게 나타남 ● 원화 변동성 확대로 주식시장에서 주가하락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남 ● 금리(회사채 3년)에 대한 영향은 아주 미미한 것으로 추정. 이는 채권시장의 미발달 및 낮은 외국의 투자비중 등의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 ● 최근 들어 외국인 채권투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 환리스크 회피를 위해 스왑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율변동이 금리의 변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 ▶ 최근 원화 변동성 확대는 향후 상당기간 실물 및 금융시장에 악영향 초래 ● 대외신인도 개선 및 글로벌 금융불안 완화 등으로 원화 변동성 급등 충격은 점진적으로 진정될 것이나, 충격이전 수준으로의 회귀에는 상당 기간 소요 ● 이는 향후 상당기간 국내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의 교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음 ● 이에 따라 정책당국이 불확실성을 축소시키기 위해 결제통화의 다변화, 환리스크 관리 강화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긴요 ▶ 리스크 관리에 대한 강화 노력을 지속할 필요성 ● 환율 변동성에 확대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금융상품에 대해 신규노출을 자제할 필요. 또한 단기에 외환포지션을 청산하기 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 ● 환리스크 노출 비중이 높은 수출입 기업에 대해 당분간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어야할 필요성
요약
▶ Won-dollar exchange rate volatility increases abruptly amid global market turmoil ● Under the domestic economic system where the price stable targeted system and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coexist, effects of external economic fluctuations to domestic regime are mainly absorbed through the exchange rate adjustment. ● Amid high oil price during 1H 2009 and global financial crisis in 2H, domestic economy and financial market have been deteriorating and foreign exchange market appears more volatile ▶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we expect won exchange rate volatility to drop by a slower space ● Coupling of won exchange with currencies in main developed countries is expected to get tighter, which is attributed mainly to a weak dollar and the stronger competitive rel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 Considering serial correlation and asymmetry of the won exchange rate volatility, the abrupt increased volatility is expected to go down by very slow pace. ● Based on the evidence that there exis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change rate volatility and exchange rate level during assumed period of time, the exchange rate level will likely to drop by very slow pace. ▶ The current surge in won exchange rate volatility is attributed mainly to external accountability deterioration and global market instability ● The current surge in won exchange rate volatility is triggered mainly by external accountability (CDS premium) and global market instability (TED spread). Besides, domestic fundamentals deterioration (stock market fluctuation)and a dissipation of bullish sentiments (trade volume) are also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 Although won exchange rate fluctuation is likely to be abate, it is hard to expect it to reach the level in Sep. before the financial crisis abrupt exacerbation. ▶ The surge in won exchange rate volatility has triggered deterioration in both exports and imports ● Volatility surge has reduced both trade volume and investments, and this phenomenon is not temporary but likely to continue for a long period of time. ● It has also driven the entrepreneurs downward, more dissipation of bullish sentiments towards profitability and opportunity cost surge. ● As volatility surge exerts more effect on exports than imports, thus it has led improvements in trade balance. It exerts little influence to consumption. ▶ The surge in won exchange rate volatility exerts more influence on stock market than bond market ● While volatility surge has driven the stock market down, it has little effect upon interest rate (3y corporate bond) due to small percentage of foreigners investments in this underdeveloped market. ● Although foreigners investments in bond market have been increasing significantly nowadays, most investments are going to swap market for the exchange risk aversion, thus the exchange rate fluctuation has little relation with the interest rate. ▶ The surge in won exchange rate volatility is likely have negative effects on both economy and financial market for a long term ●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recedes and external accountability improves, surge in exchange rate volatility will abate, however it will take a long period of time. ● And the surge in exchange rate is likely to a main factor that curb the economic growth and financial market stability. ● Therefore, government's effort in currency of settlement diversification and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hould be strengthened. ▶ Risk management should be strengthened ● New adoption of financial products which has potential exposures to exchange rate volatility should be strictly controlled. And long term management is recommended other than short-term foreign exchange position settlement. ● Exports enterprises which have large exposures to exchange rate volatility should be given special attention for a time 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