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산업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재고 변동의 특징

2010-09-30김영삼

목차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재고증감이 경기변동의 주요인으로 작용

위기 이후 재고가 급격히 감소하는 가운데 경제성장률 하락을 심화. 특히 2009년 2/4분기에는 재고증감의 성장기여도가 GDP변동의 3배가 넘어서는 -7.5%p(YoY)까지 하락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재고가 급격히 감소하는 가운데 경제성장률 변화에서 재고변동의 비중이 크게 확대된 현상은 한국뿐 만이 아니라 미국 등 주요 국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
반면 2009년 하반기부터 국내외 경기가 회복 국면으로 전환된 이후 재고가 빠르게 증가하며 경기 회복을 가속화. 2009년 3/4분기 이후 최근까지 재고증가가 경제성장률의 50% 이상 차지

재고급감은 기업실적 및 자금조달 여건 악화, 경기 불확실성 등에 따른 유동성 선호가 주원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격한 수요 위축, 경기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기업들의 현금자산 선호가 강화되는 가운데 재고 수준이 크게 축소
한국의 경우 경제의 수출의존도가 높고 수출 중 자본재 및 중간재 비중이 높은데, 위기 이후 국내외 투자 및 생산 위축으로 자본재 및 중간재 수요가 급감함에 따라 기업 실적이 악화
여기에 외부 자금의 차입여건 악화도 재고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 실제로 위기 이후 회사채 및 은행의 기업대출 평균 금리가 상승하는 등 외부자금의 조달비용이 상승

IT경기 순환이 재고변동을 심화

IT제품의 경우 기술혁신과 소비자의 기호가 비교적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제품의 교체 사이클이 2년 정도를 주기로 규칙적으로 순환하는 양상을 보임
최근 재고변동을 품목별로 볼 때 IT부문의 기여도가 2008년, 2009년 재고 감소시에는 각각 평균 72%, 34%, 2010년 상반기 재고 증가시에는 99%로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
결국 2008년 3/4분기 이후 금융위기에 따른 충격으로 재고가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IT경기의 둔화국면이 겹치면서 재고감소 심화. 반면 최근에는 IT경기 상승 국면이 재고 증가를 견인

최근 재고조정이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향후 경기 둔화 가능성 증대

위기 이후 급격히 악화되었던 출하/재고 비율이 국내외 경기 회복으로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2009년 하반기 이후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 이는 완제품 부문의 재고증가가 마무된 것을 의미
원재료 등의 재고증가로 3/4분기에도 재고증감의 성장기여도는 플러스를 유지하나 크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
2010년 7월 재고지수의 증가율(18.0%, YoY)이 출하지수의 증가율(14.3%, YoY)을 상회함에 따라 제조업 경기는 이미 정점 부근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
경제 전체에 대한 제조업의 영향력이 높은 점을 감안할 경우 향후 제조업 경기가 둔화될 경우 한국 경기 전반의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