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산업

차세대 이동통신 경쟁과 와이브로 서비스 전망

2009-09-30김남훈

목차
4G의 de facto standard로 Mobile WiMAX와 LTE가 치열하게 경쟁 중

3G에서 발달한 LTE와 광대역 무선랜기술에서 발달한 Mobile WiMAX가 4G의 후보 기술

데이터통신의 증가로 망운용비용을 줄이고 고속화가 가능한 4G환경으로의 진화를
요구. 이에 따라 이동 통신기반(WCDMA)의 LTE와 무선LAN기반의 Mobile WiMAX
(와이브로)가 후보기술로 경쟁 중
와이브로는 상용화된 이동통신 기술로 현재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음. 다만 HSDPA는 업그레이드로 와이브로와 견줄만한 전송속도를 낼 수 있어 와이브로의
포지셔닝이 중요한 상황


Mobile WiMAX는 인터넷 사업자 중심, LTE는 상위 이동통신사업자 중심

미국, 일본, 아시아/아프리카 등 Mobile WiMAX 도입 활발, 유럽, 중국은 확산도 어렵고
고정형이 대부분

Mobile WiMAX는 저조한 중동/아시아, 아프리카 등 유선 브로드밴드 구축이 미흡한
지역의 저개발 국가나 , 일본 등 선진국의 후발사업자들 위주로 도입
미국은 3위 이동통신사업자인 스프린트 넥스텔과 컴캐스트 등 케이블사업자들이
경쟁력 회복을 위해 2008년부터 상용화를 개시. 일본도 2위 이통사의 자회사가 Mobile WiMAX를 도입
반면 유럽은 이동통신사들의 견제로 영국은 아직도 주파수 대역 경매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타 서유럽 지역도 고정형 WiMAX를 주로 사용하고 있어 Mobile WiMAX의
시장 진입은 어려운 편


LTE 상용화 전까지 신속하게 점유율을 높인다면 와이브로는 틈새시장에 안착

기술적으로 대등하고 상용화에서 우위, 그러나 LTE와 대등한 시장점유율 확보는
어려움

와이브로는 기 상용화된 서비스로 기술적으로 LTE와 차이가 없으나, 전세계 이동통신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GSM계열의 이통사업자들은 대부분 LTE를 지원
이로 인한 규모의 경제효과 측면에서 와이브로가 열위해 시장 확대의 선순환 사이클을 구축하기 어려운 약점이 존재

국내 장비제조업체들은 내수시장보다는 해외 동반 진출 등을 통한 레퍼런스 구축이
중요

하반기부터 와이브로에 대한 정부의 지원 활성화. 그러나 2013년 총 가입자 규모가
100만명 수준에 그칠 정도로 큰 시장 규모 형성은 어려울 듯
특히 통신사 투자에 의존적인 중계기 업체들은 부품업체들에 비하여 매출 변동성이
크고 수익성이 낮은 편이어서 수출 경험과 삼성 등 메이저 업체와의 동반진출을 통한
해외 레퍼런스 확보가 중요
요약
Mobile WiMAX is competing with LTE to become the mainstream standard

Mobile WiMAX and LTE are the top candidates for 4G network technology

4G networks are necessary to reduce network operating costs and to increase
data transfer speeds. As a result, Mobile WiMAX, based on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technology and LTE, based on cell phone (WCDMA) technology,
are the leading candidates for 4G networks.
Wibro(Mobile WIMAX) is the fastest among currently commercialized technologies,
but faces a threat from HSDPA, which can rival Wibro speeds through S/W upgrades.


ISPs prefer Mobile WiMAX while mobile carriers favor LTE

WiMAX is preferred in the U.S., Japan, and AP/Africa while Europe and China prefer LTE

Emerging countries are using Mobile WiMAx for their 4G network. In the U.S. and Japan, the top carriers are using LTE while lower ranked carriers are introducing Mobile WiMAX.
The 3rd-ranked U.S. mobile carrier Sprint-Nextel and cable firms such as Comcast and Time-Warner began launching WiMAX services in 2008. In Japan, UQ Communications, an affiliate of the 2nd-ranked mobile carrier KDDI, began offering Mobile WiMAX in 2009
In contrast, the UK and Europe are still conducting frequency auctions to opposition from mobile carriers. In addition, fixed WiMAX is generally preferred over mobile WiMAX.


Wibro can persist as a niche market if it expands before LTE is commercialized

Wibro leads LTE in commercialization, but is unlikely to match its market share

Wibro is technologically comparable to LTE, but is at a disadvantage since GSM mobile carriers, which account for 80% of the mobile telecom market, support LTE.
As a result, Wibro lacks economies of scale and is unlikely to become self-supporting.

Domestic equipment makers must pursue collaborative overseas expansion

Although government support for Wibro will increase from 2H, the domestic market
is limited and the subscriber base will approach its limit of about 1 million in 2013.
In particular, repeater makers have more volatile sales and lower profitability than component makers, and should pursue overseas expansion in conjunction with major firms such as Samsung.
서론

Ⅰ. 이동통신서비스의 진화

1. 이동통신기술의 세대별 특징

2. 차세대(4G) 이동통신
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등장 배경
나.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특징
다. 와이브로의 기술적 특성


Ⅱ. 해외 4G 추진 동향

1. 4G(LTE vs. Mobile WiMAX)추진 동향
가. 모바일와이맥스(Mobile WiMAX)
나. 해외 사업자의 모바일와이맥스 동향
다. LTE(Long Term Evolution)

2. 글로벌 차세대 통신시장 환경 변화 구도
가. 4G의 통신시장 영향
나. 차세대 통신시장의 경쟁 구도


Ⅲ. 국내 와이브로 도입 저해요인과 최근 동향

1. 와이브로 활성화 저해 요인
가. 적극적인 투자요인 부족
나. 소비자 효용 측면도 부각되지 못함

2. 최근 이통서비스 시장 변화와 정부의 움직임
가. 정부의 경쟁촉진 정책
나. 이통사의 4G로의 전환 투자 계획 구체화


Ⅳ. 와이브로 확산 가능성에 대한 검토

1. 와이브로 경쟁력 검토
가. 먼저 상용화되었다는 측면에서 우위
나. 시장규모와 사업자 참여 측면에서 열위
다. 멀티미디어 중심의 틈새시장으로 성장할 듯

2. 와이브로 관련 제조업체 파악(중소업체 중심)
가. 중계기 및 부품
나. 와이브로 장비업체에 대한 시사점